satisfies operator in typescript and prismaorm
Chat GPT 4o Response
1. TypeScript 공식 블로그: satisfies
연산자 소개
-
타입 검증과 타입 세부 정보 유지
satisfies
는 표현식이 특정 타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하지만, 그 표현식의 구체적인 타입 정보는 그대로 유지하는 새로운 연산자입니다(Prisma, Microsoft for Developers). -
유형 안전 + 표현식 타입 보존
예:const palette = { … } satisfies Record<Colors, string | RGB>
로 선언하면, 오타(bleu
)나 키 누락(blue
) 같은 문제는 컴파일 시점에 잡아내고, 동시에palette.red.at(0)
이나palette.green.toUpperCase()
처럼 해당 타입의 메서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(Microsoft for Developers). -
초과 속성 검출
선언된 타입에 없는 추가 키도 오류로 잡아냅니다. 예를 들어platypus
같은 잘못된 키도 컴파일 타임에 잡히는 식입니다.
2. Prisma 블로그: 실전 워크플로우에서의 응용
-
Prisma.validator 대체
satisfies
는 Prisma의validator
유틸 없이도 쿼리 결과 타입을 보존하면서 그 타입이 올바른지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(Prisma). -
Prisma Client 쿼리 타입 추론 개선
findUnique
,aggregate
,count
,groupBy
등 여러 Prisma Client API에서,satisfies
를 활용해 선택된 필드를 기반으로 하는 정확한 리턴 타입 추론을 보장합니다(Prisma). -
스키마 유실 없이 런타임 검증 정의
Zod, Superstruct, Yup 등에 대해 Prisma 타입 기반의 lossless schema validator를 선언할 때satisfies
를 쓰면 타입 정보가 손실되지 않습니다(Prisma). -
재사용 가능한 쿼리 필터 정의
여러 Prisma 쿼리에 공통으로 적용할 필터를 객체 리터럴로 정의하고satisfies
로 검증하면, 타입 안전한 재사용이 가능해집니다. -
함수 시그니처 검증 및 리턴 타입 보존
React 컴포넌트나 Remix loader 같은 함수에서도, 타입 호환성과 구체 리턴 타입을 동시에 보장하며 타입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(Prisma).
3. 실무 적용 시나리오 & 장단점
✅ 장점
-
초기 타입 안전 강화
오타, 누락, 초과 속성을 컴파일 시점에 잡아낼 수 있어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. -
타입 정보 유지
객체의 구체적인 타입 추론은 그대로 보존되어, 이후 코드에서 정확한 쿼리/메서드 활용이 가능합니다. -
런타임 오버헤드 없음
컴파일 타임 체크만 수행하고, 실행 시 아무런 코드가 추가되지 않으므로 성능 저하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. -
Prisma 및 유사 워크플로우에 최적화
복잡한 쿼리조합, 타입 유추, validator 선언 등의 반복 코드 없이 구현이 단순해집니다.
⚠️ 단점 (혹은 주의 사항)
-
TypeScript 4.9 이상 필요
구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, 문법 인지를 위한 linter와 editor 지원이 필수적입니다. -
제약된 타입만 검증 가능
satisfies
는 타입 호환 여부만 판단할 뿐, 런타임 유효성 자체를 검사하지 않습니다. 예: 객체 값의 값 범위나 포맷 같은 것은 확인할 수 없습니다. -
추론의 한계
조건부 타입이나 제네릭이 난해한 케이스에서는 의도한 대로 타입이 좁혀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4. 토론: 실무 적용 피드백 & 쟁점
-
Prisma 쿼리 결과 타입 유지
실제로const myFilter = { … } satisfies Prisma.UserWhereInput
같이 선언하면, 런타임 검증 도구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타입 안전성이 높아집니다.const TICKET_PLAN_INCLUDES = { academyModel: true, lessonPlanModel: { include: { coachModel: { include: { userModel: true, }, }, }, }, } satisfies Prisma.TicketPlanInclude; // <-- 여기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Include타입을 as로 선언하게되면 정확한 TicketPlanInclude 타입으로 설정이 된다. 이 경우, 의도했던 것과는 다르게 p 객체는 lessonPlanModel > coachModel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게된다. ... const p = await prisma.ticketPlan.findUnique({ where: { id }, include: TICKET_PLAN_INCLUDES, });
as Prisma.TicketPlanInclude
로 했을때의 p.lessonPlanModel의 타입추론 결과:const lessonPlanModel: (GetResult<{ id: string; coachId: string; sessionsPerWeek: number; numberOfWeeks: number; multiplicity: number; description: string; createdTime: Date; }, unknown> & {}) | null | undefined // <-- TicketPlanIncludes 타입이 그대로 들어옴
satisfies Prisma.TicketPlanInclude
로 했을때의 p.lessonPlanModel의 타입추론 결과:const lessonPlanModel: ({ coachModel: { userModel: GetResult<{ id: string; name: string; password: string; phone: string; role: string; username: string; blacklist: boolean | null; thumbnail: string | null; nickname: string | null; ... 11 more ...; deletedTime: Date | null; }, unknown> & { ...; }; } & GetResult<...> & {}; } & GetResult<...> & {}) | null
-
라이브러리 타입 정의 공유
satisfies
를 활용하면 스키마 정의와 런타임 유효성 검사 간의 이중 선언 없이 하나의 타입 정의를 공유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. -
복합 OR · AND 필터
예:const baseFilter = { active: true } satisfies Prisma.UserWhereInput; const adminFilter = { ...baseFilter, role: 'ADMIN' } satisfies Prisma.UserWhereInput;
자유로운 조합과 타입 안전성을 동시에 가져갑니다.
-
함수 시그니처 검증 예시
Remix loader 또는 GraphQL resolver 등의 시그니처를 유지하면서, 구체 리턴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안전성 있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. -
추가 제안
-
TS 5.0 이후
@satisfies
JSDoc 지원도 고려하면, JavaScript 프로젝트에서도 비슷한 타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(Microsoft for Developers, Microsoft for Developers, Prisma). -
내부 유틸로 래퍼를 만들거나 혼합 타입 추론을 강화하기 위해
satisfies
+ 제네릭을 조합하는 패턴도 흥미로움.
-
5. 결론 요약
포인트 | 핵심 |
---|---|
satisfies 역할 |
타입 호환성 검증 + 타입 보존 |
공식 도입 | TS 4.9 (2022‑11‑15) |
Prisma 실전 활용 | 쿼리 타입 유추, validator, 재사용 필터, 함수 시그니처 등 |
이점 | 타입 안정성과 코드 유지보수성 향상, 런타임 오버헤드 없음 |
주의 | 런타임 유효성 검증 아님, TS 4.9 이상 필요 |
🔍 추가 질문 & 토론거리
-
현재 프로젝트에서 Prisma와 TypeScript를 쓰고 계시다면, 어디에
satisfies
를 넣으면 구조를 체계적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? -
라이브러리 코드를 작성 중이신가요? 그렇다면 유저에게 노출될 API 타입 유추와 검증 영역에
satisfies
를 적용해 보면 어떨까요? -
JSDoc 기반 JavaScript에서 타입 안정성을 고민하고 계시면, JSDoc
@satisfies
도입 시나리오도 환영입니다!